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1)
1. [Seminar] Dockerfile 실습 - NodeJS Dockerfile 작성하기 # 베이스 이미지를 명시 FROM node:10 COPY package*.json ./ # 추가적으로 필요한 파일들을 다운 RUN npm install # 소스 복사해서 컨테이너로 넣기 COPY . . EXPOSE 3000 # 컨테이너 시작시 실행 될 명령어를 명시 CMD["node", "index.js"] npm Install - npm은 Node.js로 만들어진 모듈을 웹에서 받아서 설치하고 관리해주는 프로그램 - npm install은 package.json에 적혀있는 종속성들을 웹에서 자동으로 다운 받아서 설치해주는 명령어 결론적으로는 현재 노드 js앱을 만들때 필요한 모듈들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역할 COPY package*.json ./ 하는 이유 npm install을 실행할때 어플맄네이션에 ..
1. [Seminar] Dockerfile 실습 - NodeJS 파일 생성 //index.js let express = require("express"); let app = express(); app.listen(3000, function(){ console.log("App is running on port 3000"); }); app.get("/", function(req, res){ res.sendfile("index.html"); }); 시작점으로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파일 // package.json { "name": "project-name", "version": "1.0.0", "description": "", "main": "index.js", "author": "HEROPY", "scripts": { "start": "node index.js" }, "depend..
1. [Seminar] Dockerfile 설명 도커 파일이란? - 도커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 - 컨테이너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정들을 정의 도커 파일 만드는 순서 1. 베이스 이미지를 명시 2. 추가적으로 필요한 파일을 다운 받기 위한 명령어를 명시 (레이어) 3. 컨테이너 시작시 실행 될 명령어를 명시해준다. ( 실행 ) 베이스 이미지 - 도커 이미지는 여러개의 레이어로 되어있다. 그중에서 베이스 이미지는 이 이미지의 기반이 되는 부분 레이어는 중간 단계의 이미지
1. [Seminar] 도커 이미지 생성하는 순서 지금까지는 도커 이미지를 항상 도커 허브에 이미 있던 것들만 사용 도커 이미지를 만들어서 사용할수도 있고 직접 만든 도커 이미지를 허브에 올려서 공유도 가능 도커 이미지 생성하는 순서 1. Dockerfile 작성 - docker file이란 docker image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 - 컨테이너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정들을 정의 2. 도커 클라이언트 - 도커 파일에 입력된 것들이 도커 클라이언트에 전달 3. 도커 서버 - 도커 클라이언트에 전달된 모든 중료한 작업들을 하는 곳 4. 이미지 생성
1. [Seminar] 실행중인 컨테이너에서 터미널 실행 ( exec ) docker exec -it 명령어 이런식으로 명령어 하나 입력해야 할 때마다 이 모든 것을 계속 입력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주기 위해 컨테이너 안에 쉘이나 터미널 환경으로 접속하는 방법 docker exec -it 명령어 -> sh -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 powershell-windows, bash,zsh - mac )
1. [Seminar] 레디스 서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해 레디스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서, "키-값"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레디스를 어떻게 이용하며 작동하는지? 레디스 서버가 그 후 레디스 클라이언트 먼저 작동 --------------------------------------------------> 실행 후 명령어를 레디스 서버에 전달 레디스 레디스 클라이언트 ---------------------------------------------------> 서버 redis-cli docker run redis 1. docker run redis 2. redis-cli 입력 Error 발생 -> Connection refused 에러 발생 이유? 레디스 ..
1. [Seminar] 도커 컨테이너의 생명주기 생성 (create) 시작 (start) 실행 (running) 중지 (stopped) 삭제 (deleteed) docker create 이미지이름 docker stop 컨테이너이름 docker rm 컨테이너이름 생성, 시작, 실행 docker run = docker create + docker start 이미지 1) 시작시 실행 될 명령어 모음 2) 파일 스냅샷 (bin, dev, etc ... ) 컨테이너 명령어 커널 네트워크 CPU RAM 하드 디스크 bin. dev. etc .. 중지 docker stop 컨테이너 docker kill 컨테이너 공통점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중지 차이점 Stop은 그동안 하던 작..
1. [Seminar] 컨테이너 나열하기 (PS) docker ps -a 도커 process 정지된 컨테이너도 클라이언트언급 status 표출 실행 시 출력 결과 1. Container ID: 컨테이너의 고유한 아이디 해쉬값. ( 실제로는 더 길지만 일부만 노출 ) 2. Image: 컨테이너 생성시 사용한 도커 이미지 3. Command: 컨테이너 시작시 실행될 명령어 ( 대부분 이미지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별도 설정이 필요 X ) 4. Created: 컨테이너 생성시간 5. Status: 컨테이너 상태 (Up, Exited, Pause) 6. Ports: 컨테이너가 개방한 포트와 호스트에 연결한 포트 7. Names: 컨테이너 고유한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