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디스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서, "키-값"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레디스를 어떻게 이용하며 작동하는지?
레디스 서버가 그 후 레디스 클라이언트
먼저 작동 --------------------------------------------------> 실행 후 명령어를 레디스 서버에 전달
레디스 레디스
클라이언트 ---------------------------------------------------> 서버
redis-cli docker run redis
1. docker run redis
2. redis-cli 입력
Error 발생 -> Connection refused
에러 발생 이유?
레디스 레디스
클라이언트 ----> 서버 컨테이너
레디스 클라이언트가 레디스 서버가 있는 컨테이너 밖에서 실행할려고 해서 오류 발생
해결 방안
레디스 클라이언트도 컨테이너 안에서 실행을 시켜야 함
docker exec -it <레디스 서버> redis-cli
-it: 실행 한 후 계속 명령어를 적을 수 있음 ( 없으면 redis-cli를 켜기만 하고 종료됨 )
'Infla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Seminar] 도커 이미지 생성하는 순서 (0) | 2020.12.29 |
---|---|
1. [Seminar] 실행중인 컨테이너에서 터미널 실행 ( exec ) (0) | 2020.12.29 |
1. [Seminar] 도커 컨테이너의 생명주기 (0) | 2020.12.26 |
1. [Seminar] 컨테이너 나열하기 (PS) (0) | 2020.12.26 |
1. [Seminar] 도커 이미지 내부 파일 구조 보기 (ls) (0) | 2020.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