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는 도커 이미지를 항상 도커 허브에 이미 있던 것들만 사용
도커 이미지를 만들어서 사용할수도 있고 직접 만든 도커 이미지를 허브에 올려서 공유도 가능
도커 이미지 생성하는 순서
1. Dockerfile 작성
- docker file이란 docker image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
- 컨테이너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정들을 정의
2. 도커 클라이언트
- 도커 파일에 입력된 것들이 도커 클라이언트에 전달
3. 도커 서버
- 도커 클라이언트에 전달된 모든 중료한 작업들을 하는 곳
4. 이미지 생성
'Infla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Seminar] Dockerfile 실습 - NodeJS 파일 생성 (0) | 2021.01.04 |
---|---|
1. [Seminar] Dockerfile 설명 (0) | 2020.12.29 |
1. [Seminar] 실행중인 컨테이너에서 터미널 실행 ( exec ) (0) | 2020.12.29 |
1. [Seminar] 레디스 서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해 (0) | 2020.12.29 |
1. [Seminar] 도커 컨테이너의 생명주기 (0) | 2020.12.26 |